반응형 디벨로퍼1 "한국 '부동산 PF' 문제점, 해외사례(미국,일본,네덜란드) 벤치마크 해야!" *출처:픽사베이 부동산 PF 시장은 부동산 경기의 한 축입니다.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규모도 크며 사업성패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게 됩니다. 미래 현금흐름, 즉 수익성을 기반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기업인데, 선진국은 디벨로퍼가 금융사와 연기금 등 지분투자자를 유치하여 30~40% 자기 자본으로 토지를 매입하고 건설단계에서 PF 대출을 받는데, 단순 분양수익 외에도 임대수익도 갖추게 되어 수익구조가 안정적이라는 평가가 많습니다. 우리나라는 단기수익 추구 경향이 짙으며, 그 사업의 영세성으로 인해 자기 자본 비중도 매우 낮아 토지 매입부터 고금리 대출을 받아서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출기관은 금융사업자 특성상 낮은 자기 자본 비율 사업의 리스크를 보완하기 위해 건설사나 신탁사의 보증, 그것도 100% 보증을.. 2024. 11.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