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성과평가2 "주관성, 편향성, 비효율성 문제, '직원 다면평가' 오히려 직원사기 꺾어" *출처:픽사베이 요즘 많은 회사에서 상사나 동료, 그리고 본인 자기 평가를 하게 하는 소위 '다면 평가'제도를 많이 도입하고 있습니다. 개인이나 팀에 대해 평가하는 인사 평가제도의 일환입니다. 이를 통해 평가자체를 목적으로 하고 있지 않고 성과 관리나 그 이상의 조직관리를 위해서 시행한다고는 하지만 직원들 스스로도 괜히 많은 부담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실제 나를, 나의 성과와 태도 측면을 온전하게 반영하고 있을까 하는 생각도 많이 해봅니다. 다면평가는 부하의 상향식 평가, 상사평가의 활용적인 측면과 자기 평가의 활용적인 피드백 측면에서 효용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다면평가라고 하는 것이 어떠한 평가상의 한계점들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봅니다. 평가 불일치일단 평가주체마다 평가점수가 .. 2024. 11. 12. 직원 평가의 숨겨진 함정. 3가지. 평가 제대로 하고 있습니까? 평가. 진짜로 제대로 하고 있습니까? 많은 기업들은 성과와 이익을 추구합니다. 그 목표를 달성하고 극대화하기 위해 임직원들을 평가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많은 평가지표가 만들어집니다. 생산성과 효율성, 누가 더 조직에 충성을 하고 믿을 만 한가 하는 도구로 활용되어 집니다. 다만, 그러한 것들이 성과 극대화와 실제로 연관되어 있는지 반드시 꼭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많은 직원들 평가지표와 실제 기업성공을 이끌어 내는데 어떤 괴리점이 있는지, 평가의 오류, 평가의 숨겨진 함정 3가지를 살펴봅니다. 실제 작동하고 있는가 우선 정량적 지표를 과도하게 활용하고 있습니다. 판매량과 실적에 대한 완료숫자는 쉽게 측정하지만 그와 관련된 기술 및 노력, 다른 직원들의 희생등과 같은 정성적 관계는 .. 2024. 5.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