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차 산업혁명의 총아, 핵심이라고 볼 수 있는 AI, 그 산업분야는 전방위적으로 확산이 되고 있습니다.
'25년도에만 약 4천억 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각국의 주요 AI 기업들이 주도하는 산업분야인 클라우드 컴퓨팅, 머신러닝 분야, 그리고 데이터 분석 분야의 발전이 기대됨은 물론, 헬스케어, 자동차, 금융 등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서 그 활용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대한민국은 파트너십과 제휴, 투자, 그리고 특허 등을 위시로 하여 선정한 이 산업분야의 파운데이션 모델 보유와 스타트업 역시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어 그 성장이 기대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국가전략 정보포털에 게시된 내용을 중심으로 특히, 각각의 기술분야별로 그 트렌드와 산업을 이끄는 핵심 기업들을 간략히 정리해 봅니다.
글로벌 100대 AI 기업들
미국이 59개, 중국이 10개, 영국 7개, 프랑스 5개, 캐나다 5개, 이스라엘 2개, 일본 1개 등으로 조사되는군요. 대한민국은 아직 주요한 AI기업이 있다고 명함도 내밀지 못하는 수준이라 안타깝습니다.

*출처:국가전략정보포털
역시 미국은 미국입니다. LLM 분야에 6개 회사 이름이 유명한 오픈 AI, AI 로봇 분야에 테슬라와 같은 자동차 회사도 들어가며 5개 회사가 활동 중입니다.
엔비디아와 같은 반도체칩 회사가 6개, 깃허브 등 프로그래밍 회사가 6개, 기타 회사만 36개로 그 위세를 떨치고 있습니다.
LLM과 AI로봇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인간과 유사한 언어 이해와 생성능력을 갖춘 딥러닝 모델과 관련한 LLM 분야는 오픈 AI라는 기업이 이끌어 가고 있습니다.
OPEN AI 기업은 우리가 최근에 자주 활용하는 챗GPT를 운영하는 회사입니다.

*출처:챗GPT 바로가기
그 외 기업으로 분류하기에는 서운하게 들릴 어마어마한 밸류를 지닌 구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등이 활발한 활동 중입니다.


*출처:국가전략정보포털
자율주행차 및 로봇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테슬라는 그 두 번째 세대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 중입니다.
센서를 통해 인간처럼 환경을 인식하고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로봇을 개발하는 산업분야에는 피겨 AI, 앱트로닉, 어질리티 로보틱스, 애지봇, 유비테크, 생추어리 AI 등등의 기업들이 포진합니다.
반도체칩과 프로그래밍
엔비디아는 이제 전 산업분야의 미래를 이끌어가는 선두기업이 되었습니다. 컴퓨터 및 모든 전자제품에 들어가는 핵심부품으로 산술 연산, 정보기억, 다른 칩의 제어 등을 수행하는 기업의 대표입니다.
AI 연산에 필요한 GPU 설계능력은 이 산업분야의 발전을 담보합니다. 인텔, 애플, 그로크, 그래프 코어, ARM, 텐스토렌트 등과 같은 각국의 기업들이 활동 중입니다.


*출처:국가전략정보포털
생성형 AI 기반 코딩 툴, 자동화 소프트 웨어 개발이 중요한 깃허브와 같은 회사가 유명합니다. 허깅페이스, AWS, 코디움, 리플릿, 애니스피어, 탭나인 등 눈에 띄는 기업들이 많습니다.
AI에이전트 등
사람의 개입 없이 특정작업을 수행하는 자율지능형 시스템을 개발하는 AI 에이전트 기업들 중에는 잇뷰라는 기업이 있습니다. 개인화된 AI 에이전트 개발 전문회사입니다.
세일즈포스와 같은 고객관계 관리 설루션을 중심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기업과 IBM처럼 엔터프라이즈 AI 플랫폼을 이끌고 있는 대표적인 기업들이 많습니다.
기업이나 공공기관이 쉽게 자기 회사에 맞는 생성형 AI 서비스를 제작하고 이용할 수 있는 특화형 플랫폼형태로 운영합니다.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여 상호작용이 가능토록 하는 인간 인터페이스 장치, 즉 BCI 분야에서는 뉴럴링크 회사가 강자입니다.
마무리
아직 대한민국의 기업이 보이지 않아 매우 아쉽습니다. 삼성전자, 네이버와 같은 기업들도 이 분야에서는 이름이 없군요.
그래도 수많은 스타트업 기업들 중심으로 관련 분야에 뛰어들고 있으니 정부에서도 혁신기업들에 대한 지원들을 확대하여 AI 분야에 한국인들이 많이 활동하고 시장을 이끌어 갈 수 있게 될 날을 고대해 봅니다. 끝.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내 지갑에 영향을 주는 미국과 한국 '기준금리', 결정이 중요한 이유는?"
*출처:미국 연방준비위원회( 미국 연방은행, FRB가 금리를 내릴 것이냐 올릴 것이냐? 이에 따라 한국은행은 연동하여 어떤 결정을 내릴 것이냐 하는 것은 대한민국 경제와 나의 삶에 상당한 영향
sunnypark7788.tistory.com
"도시 분위기 흐리는 심각한 '상가 공실(空室)', 도대체 왜 생기나?"
*출처:픽사베이 문재인 정부시절 대한민국 부동산은 유례없는 호황에 호황을 거듭하였습니다. 당시 정부 역시 절대 과제는 항상 폭등도 폭락도 원하지 않기에 가격안정화에 있었습니다. 그렇지
sunnypark7788.tistory.com
"퇴직금 절세: IRP 활용으로 세액공제 받고 재산 늘리기"
지난번 포스팅에서 기업이 금융기관과 노조의 동의하에 가입을 하게 되는 퇴직연금제도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DB와 DC제도, 즉 확정급여형 제도와 확정기여형 제도가 있다는 것이지
sunnypark7788.tistory.com
'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시장 밸류업을 위한 '기업공개와 상장폐지' 개선내용 알아보기 (0) | 2025.01.25 |
---|---|
"'25년,새해 은행이 '풀고 유지한 대출규제'와 '상환수수료율' 알아보기!" (4) | 2025.01.25 |
"예금, 적금아닌 '달러' 투자에 관심있는 당신은 재테크 승부사~!" (3) | 2025.01.12 |
"연말정산 제테크: 이것들 못 챙기는 당신, 국세청이 좋아해요~!" (3) | 2025.01.01 |
내 지갑에 영향을 주는 미국과 한국 '기준금리', 결정이 중요한 이유는?" (35) | 2024.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