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이 2023년도 급락과 극심한 침체기를 맞았습니다. 2024년도 수많은 이 분야 전문가들이 향후 한국 부동산, 특히 아파트 시장의 향방에 대해 반반으로 나뉘어 토론을 벌이고 있습니다.
인구가 감소하고 베이비부머의 퇴직이 가속화, 가계부채 증가와 고금리 지속 등의 유인은 분명 하락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다만, 대한민국만의 독특한 풍조인 수도권에 인구가 집중된 점, 지속적인 주택수요가 받쳐줄 거라는 점, 결국 인플레이션에 따른 가격상승과 정부의 의지가 받쳐줘 점진적인 우상향 할 것으로 보는 전문가들의 견해도 만만치 않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한국부동산 시장의 미래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점 세 가지 요인과 이유를 간략히 살펴봅니다.
수도권 인구집중
"말은 낳으면 제주도로 보내고 사람은 태어나면 서울로 보내라"라는 말이 통용이 된 지 오래입니다.
대한민국은 극심한 서울, 경기도권의 인구집중이 심한 나라입니다.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업들, 관공서 등이 수도권에 몰려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세종시에 청사를 두고 분권화하는 작업도 하긴 했지만, 실효를 거두고 있는지는 아직도 의문입니다.
대한민국 전체인구의 약 50%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으며 아직도 인구는 증가 중에 있습니다. 서울특별시의 인구밀도는 전 세계 주요 도시들 중의 상당히 높은 위치에 자리합니다.
[국내인구이동 : 단위 천명]
구분 | 권역별 | 2021 | 2022 | 2023 |
권역별 순이동자수 | 수도권 | 56 | 37 | 47 |
중부권 | 24 | 34 | 18 | |
호남권 | -16 | -13 | -15 | |
영남권 | -67 | -61 | -47 |
*출처:통계청 국내인구 통계
결국 이런 인구집중 기조는 주택수요를 꾸준히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며 가격을 언제든지 우상향 시킬 수 있는 이유입니다. 교육, 일자리, 문화 등의 인프라가 집중된 수도권에 지속적인 주거 수요가 있어 꾸준히 상승압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인플레이션(Inflation)
물가가 상승하고 있다는 뉴스는 부동산도 결국 실물재산, 재화이므로 가격상승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3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3.6%입니다.
시장의 투자자들은 부동산을 인플레이션에 대한 중요한 헷지 수단으로 활용하게 만들어, 투자 수요를 촉발시킵니다.
*출처:통계청 소비자 물가조사
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현금의 가치가 하락하고 있다는 뜻이라, 물건을 빨리 사두고자 하는 심리가 시장에 팽배하게 됩니다.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 건물을 짓는 공사원가도 올라가고, 임대료도 상승하며 결국 가격은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
*출처:고용노동부, 사업체 노동력 조사
정부의 의지
정부는 주택공급확대와 규제완화를 통해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주요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안정화라는 것은 가격 상승을 방조하지 않겠다는 의지이지만, 급등 못지않게 급락하는 것도 여러 문제들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시장안정은 부동산 정책당국의 주요 목표가 됩니다. 특히, 재개발, 재건축 규제완화와 신규 주택 공급확대 등은 시장에 긍정적인 시그널을 줄 수도 있습니다.
공공임대주택의 확대공급, 생애최초 주택 구매자에게 주어지는 세금 감면 혜택, 저금리 대출 지원 통한 주택수요 자극은 구매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가격상승의 요인으로 작용이 가능합니다.
마무리
수도권에 인구 집중과 지속적인 주택수요가 있다는 것은 언제든지 부동산 가격을 상승시킬 수 있는 유인이 됩니다.
정부의 정책변화와 주택공급확대 조치도 잠잠했던 시장의 분위기를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물가가 상승하는 인플레이션 또한 실물자산인 부동산의 가격상승을 유인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균형가격을 찾기 마련이고, 시장에 산재한 수많은 호재요인과 악재요인들이 팽팽하여 부동산 시장을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 거라는 판단을 쉽게 내리지는 못하고 갈팡질팡 하는 모습니다.
부동산 시장이 양극화되어 서민들이 더 이상 접근하지 못하는 수준의 가격이 방치되는 것만큼은 막고, 적정한 가격을 찾아서 안정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정부대책이 실효를 거두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끝.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주식.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탁회사를 활용한 스마트한 부동산관리와 투자 전략" (23) | 2024.07.27 |
---|---|
"카카오뱅크 미래 불확실성, 금융플랫폼 강자 자리매김 가능할까?" (22) | 2024.07.23 |
"한국 부동산 시장의 어두운 미래, 가격하락 요인 세 가지" (28) | 2024.07.05 |
"개미투자자 위한 주식종목 선정가이드:호재와 악재요인 분석" (36) | 2024.07.02 |
송도가 잘 나가는 이유: 6. 바이오 지원시설 확보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선정' (38) | 2024.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