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직장인들이 승진을 원하지 않는 진짜 이유 네 가지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건강

현대 직장인들이 승진을 원하지 않는 진짜 이유 네 가지

by 썸띵 디퍼런트 2024. 6. 29.
728x90
반응형

직장인들이 회사를 다니면서 제일 기대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좋은 직무, 급여나 복지와 같은 대우, 함께 일하고 싶은 상사나 동료, 그리고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승진(promotion)' 일 것입니다.

해마다 또는 반기가 바뀌는 시점마다 회사에서는 성과와 평판을 고려하여 규모 있는 승진인사를 단행합니다. 
 
 

더이상 승진을 원하지 않는 직장인
더이상 승진을 원하지 않는 직장인

 

*출처:픽사베이

 
 
많은 직장인들이 승진을 하고 싶어 하며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승진인사에 명단이 없다면 적당히 기분이 다운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정말 그렇다고요? 적어도 갈수록 많은 직장인들, 특히 젊은 MZ세대로 갈수록 승진에 일희일비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기피하는 현상까지도 있습니다. 승진에 누락된 사실, 어쩌면 그렇게 슬퍼할만한 일도 아닐 수도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왜 현대 직장인들이 승진을 실제로는 절실하게 원하지 않는지 그 심리와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 승진인사에 누락된 대부분의 직장인들을 위로하고, 스스로의 삶과 성숙한 직무발전을 위해 좀 더 파이팅 할 수 있는 기회 되기를 바라봅니다.
 
 

워라밸 추구

반응형

많은 직장인들이 승진을 하기 위해서는 사실 동료와의 경쟁인 것입니다. 그들보다 어떤 식으로든 더 많은 열정을 투여해야 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영업직의 경우에는 그 시장이 레드오션인 경우 특히, 자신의 시간과 영혼을 팔아야 하는 상황, 때로는 고객의 환심을 사기 위해 자신의 영업시간 외의 지분도 기꺼이 내놓아야 하는 상황까지도 올 수 있습니다.

남보다 좀 더 나은 대우를 받고 더 나은 급여도 받기 위해서 열심히 하는 것 같지만, 지금의 바닥같이 힘든 근무현실이 승진을 하게 되면 좀 더 나아질 까 하는 기대 때문에 승진을 하고 싶어 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근무시간과 자신의 가족, 개인적인 삶과의 밸런스가 깨진다면 더 이상 현대 직장인들은 승진이나 지금 직장에서의 롱런을 어쩌면 절실하게 원하지 않게 될 중요한 이유인 것입니다.

먼 훗날 퇴직을 하게 되면 가정과 가족에 소홀했던 당신은 어쩌면 배우자로부터 이혼서류에 도장을 찍으라는 끔찍한 현실을 맞을 수도 있습니다.
 
 

책임과 직무안정성

반응형

사실 인사시즌에 자신이 승진을 한다는 상상을 하는 것은 즐거운 일입니다. 그렇지만 동료들에게 거나하게 한 잔 술을 사고 나면 숙취에서 깨어날 즈음 스멀스멀 피어나는 것은 오히려 미래에 대한 두려움입니다.

자신이 해왔던 직무, 익숙했던 환경, 그리고 책임과는 또 다른 차원의 변화가 오는 것입니다. 주위의 기대와 시선도 한 단계 상승한 자신의 위치만큼 업그레이드되는 것입니다.
 

승진 후 높아진 주위사람들의 기대
승진 후 높아진 주위사람들의 기대

*출처:픽사베이

 
 
물론 자신이 해왔고 인정받았던 성공방정식이 유효하다면 큰 문제가 없을 수도 있지만 승진이라고 하는 기쁨도 잠시, 새로운 직무와 가중된 책임, 근무환경에 제대로 적응되지 못한다면 보다 더 큰 직무스트레스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지나칠 경우 승진 후의 자신의 직무역할과 성과가 오히려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다면 직무에 대한 만족도와 안정성이 생각보다 더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변화된 인사문화

반응형

 
현대직장인들만 승진하고자 올인하는 마음이 더 이상 아닐까요? 사실은 여러분의 직장, 회사 또한 여러분을 더 이상 끝까지 지켜주지 않습니다. 당신의 미래에 기업 인사부에서 그렇게 올인하고 있지 않는 것입니다.

많은 기업들은 과거의 전통적인 수직적인 구조의 승진체계를 따르지 않고 직급체계는 어느 정도 갖추고 있더라도 실제라도 직무중심의 수평적인 문화, 인사, 그에 따른 연봉제와 같은 성과보상 체계를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자신의 상사보다도 자신이 더 많은 급여를 받고 있는 경우도 많고 그 사실을 오픈하지를 않으니 잘 모르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직급보다는 자신이 해당 직무에서 얼마나 성과와 전문성을 보여주느냐 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에 대한 판단을 보다 더 중시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직장인들이 사실은 승진을 굳이 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고 인정받을 수 있는 배경이 될 수 있습니다. 
 
 

경제적 효익여부

반응형

승진을 하기 위해 많은 열정과 희생이 필요할 것은 사실입니다. 그런 성과를 내었다면 회사에서는 그에 상응한 보상을 한다고는 봐야죠.

그렇지만 승진이 반드시 경제적으로 그 효익이 커졌다고 볼 수도 없을 것 같습니다. 일부 기업에서는 승진 후에도 실질적인 경제적 보상이 크지 않고 오히려 업무 부담과 책임, 그리고 경제적 비용만 가중이 되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이미 깨진 자신의 일과 삶의 균형은 보다 더 그 간극이 커질 수 있습니다.
 

승진 후 직원들 회식비용은 나의 몫
승진 후 직원들 회식비용은 나의 몫

 

마무리

 

직장인들에게 자신에게 부여되는 승진의 기회, 성과에 대한 보상이 특별하다는 것은 대부분이 인정하는 사실입니다.

그렇지만, 더 이상 많은 직장인들은 자신이 승진을 하기 위해 동료와 스스로 비교하고 비교당하는 현실에서 과도하게 몰입하는 현상에서 벗어나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고,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키워, 개인적인 성장과 자기 계발 등에 보다 더 신경을 쓰는 것 같습니다.
 
승진을 오히려 기피하는 이유는 결국 워라밸 추구, 가중된 책임과 직무안정성 차원의 균열, 실질적인 경제적 보상 미흡, 인사정책 또한 변화하는 현상 등 여러 이유가 있음을 살펴보았습니다.
 
승진이라고 하는 것이 상사에게 정치적으로 어필이 충분히 된 상황이 아니라면 사실은 성과면에서 상위 10% 정도는 꾸준히 위치하고 있어야 올 수 있는 기회일 수 있는데, 승진을 기피하는 현상이라고 하는 것이 애초에 자신에게 그런 일이 일어날 가능성과  자신의 역량을 스스로 제한하는 일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더 이상 회사와 직장이 자신의 먼 미래를 책임져 주지 않는 현실에서 보다 더 자신의 인생과의 일과의 전체적인 균형차원에서 멀리 보고 자신이 스스로 규정한 인생과 직무에 대한 목표에서 실질적이며 진정한 승진, 성장에 한발 더 나아가는 흐름에 있는 선택이라면 승진인사에 일희일비하지 않는 당당한 직장인들이 되시길 바랍니다.    끝.
 
 
[함께 읽어 보시면 좋은 글]

공무원 시험 합격후에도 퇴직을 선택하는 이유 세 가지

대학교 다니면서 한두 번쯤 남들이 괜찮다고 하여 선망의 대상이 되는 자격증 한두 개 도전해 본 적들이 있을 것입니다. 공인회계사, 감정평가사 등. 나름 전문직이 괜찮을 것 같아 도전했지만

sunnypark7788.tistory.com

"알고리즘 중심 사회: 반드시 알아야 할 숨겨진 위험 네 가지"

많은 사람들이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네이버, 다음 등 수많은 포탈이나 SNS들을 들여다보고 삽니다. 성인들도 쳐다보다 보면 시간 가는 줄 모릅니다만, 아이들이 핸드폰을 들여다보며

sunnypark7788.tistory.com

삶의 소풍을 즐기는 법: 죽음을 의연하게 받아들이는 세 가지 태도

전화 한 통을 받았습니다. 벌써 팔순을 훌쩍 넘은 어머니입니다. 자식들 키우시느라 허리가 굽어 다른 외출은 거의 못하는 상태이지만 교회만큼은 어떻게든 나가시려고 합니다. 어머니가 가진

sunnypark7788.tistory.com

 

반응형